지역정가 '책임론' 공방 가열…총선 쟁점 급부상

제주지역 국회의석수 축소 움직임과 관련한 '책임공방'이 가열되면서 지역정가에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4·15총선을 60여일밖에 남겨놓지 않은 상황에서 책임론이 불거져 나옴으로써 총선 쟁점으로도 급부상하고 있다.

지난 9일 국회 정개특위 합의 직후 촉발되기 시작한 논란은 각 당이 모두 가세해 서로를 향해 책임을 묻는 형국으로 번졌고 급기야 이름까지 거명하며 핏대를 올리는 상황에까지 이르렀다.

정개특위 합의대로 '제주지역 2석'이 확정될 경우 논란은 걷잡을 수 없이 번질 것으로 전망된다.

논란은 정개특위가 열렸던 지난 9일 불거졌다. 이날 서울주재 제주지역 기자들과 간담회를 가진 현경대의원은 의석수가 2개로 줄어든다면 열린우리당 때문이라고 '책임론'을 처음으로 제기했다.

열린우리당의 주장대로 지역구와 비례대표 의원수를 동결할 경우 북제주군 선거구는 통폐합되고 제주도 선거구는 2개로 줄어든다는 것이다.

현의원은 이튿날 <제주의 소리>와 가진 전화인터뷰에서도 "인구 상·하한선을 10만~30만명으로 조정해 늘어나는 자연 인구증가분 만큼 지역구를 늘려 국회의원 정수를 '273명+알파'로 하면 문제가 해결된다"며 "한나라당에선 이미 당론으로 정했으나 열린우리당에선 이를 수용하지 않고있다"고 공세를 폈다.

이같은 발언이 나오자마자 민주당이 즉각 대응에 나섰다. 현역의원들은 도대체 뭘했는지 모르겠다며 제주출신 현역의원들을 싸잡아 성토했다.

자신들도 현역의원 1명을 두고있지만 실상은 현역의원 2명을 보유한 한나라당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된다.

민주당 도지부는 10일 '제주도 의원 3석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는 논평을 통해 "정개특위에서 선거구 획정을 다룬지가 한 해를 넘기고 있는 지금까지 도내 3개 선거구의 당사자인 현역 국회의원은 뭘하고 있었는지 상당히 갑갑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도지부는 이어 "이 시점에서 남의 정당 탓해서 문제를 비켜갈 그럴 여유있는 상황도 아니"라며 "3개 선거구 현역의원은 소속 정당을 떠나 제주도 의석 3석을 지켜내는 방안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고 촉구했다.

11일에는 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이 공방에 가세했다.

한나라당은 그러나 이날은 공세 수위를 다소 낮췄다. 새롭게 '도세(道勢) 약화론'을 들고나왔다.

도지부는 이날 대변인논평을 통해 "제주지역 국회의원 수가 줄어들 위기에 놓여있는데 이는 바로 도세(道勢) 약화를 의미한다"며 전 도민이 이런 사태를 경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논평은 비교적 차분한 어조로 "국회 선거구 획정위는 4당 원내 대표들의 합의를 존중하고 '광역자치단체에 2명의 국회의원'이라는 기형적 분포를 불식하기 위해 최소한의 융통성을 발휘, 현행 3개 선거구를 유지토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번에는 '책임론'의 표적이 된 열린우리당이 가만히 있지 않았다. 열린우리당 제주도지부는 한나라당 현경대의원을 직접 거명하며 공세 수위를 높였다.

열린우리당 도지부는 이날 '현역의원들의 노고(?)에 경의를 표하며, 지역발전을 위한 길이 무엇인지 재고하시길…"이란 대변인 논평을 내고 현의원이 사실을 왜곡하고 책임을 전가하고 있다고 공격했다.

논평은 "현경대의원은 모든 책임이 국회내 47석의 의석밖에 보유하지 못한 열리우리당의 당론 때문이라며 (자신을 향한)제주도민의 비난에서 빠져나가려 하고있다"고 나무랐다.

이어 "북제주군 선거구의 통폐합으로 국회의원 1석이 사라질 이 상황까지 오게 된 것은 최다선인 현경대의원을 필두로 하는 제주지역 의원들의 정치력 부재 때문인가, 아니면 자신들의 정치적 계산에 따른 그들만의 밀실야합의 산물인가를 묻지않을수 없다"며 우회적으로 현의원에게 책임을 돌렸다.

이처럼 여·야간에 치열한 공방이 계속되면서 각 당의 도지부는 '대응책'을 마련하거나 공세를 펴기위한 '전략'을 짜는등 바쁘게 움직이는 모습이다.

상황에 따라선 총선에서 후보들이 주요 공격소재로 삼을수 있고 곧바로 정치쟁점화 할수 있는 '메가톤급 위력'을 지녔다는 점에서 책임 공방은 쉽게 사그라들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