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물’은 다른 지역 그것 이상의 가치를 지닌다. 섬이라는 한정된 공간에 뿌리내려 숨 쉬는 모든 생명이 한라산과 곶자왈을 거쳐 흘러나오는 물에 의존한다. 그러나 각종 난개발, 환경파괴로 존재가 위협받고 있다. 제주 물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는 요즘, 남아있거나 사라진 439개 용출수를 5년 간 찾아다니며 정리한 기록이 있다. 고병련 제주국제대 토목공학과 교수의 저서 《섬의 산물》이다. 여기서 '산물'은 샘, 즉 용천수를 말한다. <제주의소리>가 매주 두 차례 《섬의 산물》에 실린 제주 용출수의 기원과 현황, 의미를 소개한다. [편집자 주] 

[제주섬의 산물] (102) 인성리 거수정

인성리는 대정읍(大靜邑)의 중심부(中心部)에 해당하는 곳으로 조선조 삼현(三賢)시대의 대정현 소재지로 옛 이름으로 ‘대정골’이다. 대정골 일대는 3개 마을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인성리(仁城里)는 '성(城)을 사랑한다' 또는 '인정(人情)이 두터운 곳'이라는 뜻이다. 안성(安城)은 '성(城)을 평안하게 한다'는 뜻이고, 보성(保城)은 '성(城)을 보호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 대정고을의 유일한 우물형태의 산물로 성을 인자하게 한다는 뜻을 갖고 있는 인성리에 설촌의 역사를 대변하는 ‘거수정(두래물, 두레물, 도레물, 드렁물, 거수정)’이란 산물이 있다.

옛 부터 모슬봉은 옥녀의 형국이고 금산봉은 거문고의 형국이라 대정고을(대정읍 인성, 안성, 보성)의 지형은 모슬봉의 옥녀가 금산봉의 거문고를 타는 모습이라 하여 옥녀탄금형(玉女彈琴形)이라 한다. 그리고 고을안의 거수정은 옥녀의 하문(下問)인 우물터다.

1. 거수정 (1).JPG
▲ 거수정. ⓒ제주의소리

거수정(擧水井)이라 하고 있는 것은 두레박으로 물을 뜬다고 해서 두레물을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또 다른 이름으로 걸못이라 했는데, 원대정군지에는 거을지재대정군성내 전설운군수탐측고렴칙윤(擧乙池在大靜郡城內 傳說云郡守貪則固廉則潤)이라 기록하고 있다. 

이 물은 옛 대정골의 하나밖에 없는 식수로 고을에 명관이 추대되면 물이 말랐다가도 용출하고 만약에 그렇지 못한 이가 추대되면 용출하던 물이라도 금시 말라붙어 사라져 버린다는 속설이 전해져 오는 산물이다.

2. 거수정 내부 (1).JPG
▲ 거수정 내부. ⓒ제주의소리

이 산물은 벼랑 끝 궤(동굴)처럼 움푹 패어져 있는 웅덩이에서 나는 산물로 일곱질(17m 정도)의 줄로 두레박을 넣어 물을 뜰 정도로 깊었다. 우물 형식으로 한발이 심하면 '파고천'이라 부르면서 사용하기도 하였다.

3. 거수정 안내판 (1).JPG
▲ 거수정 안내판. ⓒ제주의소리

한동안 산물은 북문 뒤에 지하수 개발 후 부터는 물이 솟지 않는다고 하여 방치되어 오다가 우물을 복원하였다. 이 산물은 추사적거지에서 북쪽방향으로 난 길(추사로55번길)을 따라 두레물이라는 안내판이 있는 들렛물 거리로 막 들어서서 대정우물터라는 안내판을 따라 가다보면 물허벅을 진 여인상이 지키는 곳에 있다. 

4. 거수정 우물 모습 (1).JPG
▲ 복원된 거수정 우물. ⓒ제주의소리

이 산물은 그 옛날 우리 선조들이 단순한 식수로만 사용한 것이 아니라 고을 현감의 덕행과 선정도 물과 같이 순리를 따라야 한다는 고을민의 염원을 두레박에 담고 조심스레 물을 퍼 올려 사용한 깊은 뜻이 담겨져 있다.

# 고병련(高柄鍊)

제주시에서 태어나 제주제일고등학교와 건국대학교를 거쳐 영남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에서 수자원환경공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제주국제대학교 공학부 토목공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제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공동대표, 사단법인 동려 이사장, 제주도교육위원회 위원(부의장)을 역임했다. 현재 사회복지법인 고연(노인요양시설 연화원) 이사장을 맡고있다. 또한 환경부 중앙환경보전위원과 행정자치부 재해분석조사위원, 제주도 도시계획심의, 통합영향평가심의, 교통영향평가심의, 건축심의, 지하수심의 위원으로 활동했다. 지금은 건설기술심의와 사전재해심의 위원이다.

제주 섬의 생명수인 물을 보전하고 지키기 위해 비영리시민단체인 ‘제주생명의물지키기운동본부’ 결성과 함께 상임공동대표를 맡아 제주 용천수 보호를 위한 연구와 조사 뿐만 아니라, 시민 교육을 통해 지킴이 양성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섬의 생명수, 제주산물> 등의 저서와  <해수침입으로 인한 해안지하수의 염분화 특성> 등 100여편의 학술연구물(논문, 학술발표, 보고서)을 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