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_9209.JPG
▲ 제주연구원은 14일 ‘제주도형 행복지표’를 주제로 제주미래포럼을 개최했다. ⓒ제주의소리

37번째 제주미래포럼 주제 '제주도형 행복지표', 교육·주거·환경 등 12개 영역 36개 기준

제주도민들이 느끼는 행복감을 수치로 정형화하는 ‘행복지표’가 개발된다. 12개 영역에서 총 36개 기준이 지표로 포함될 예정인 가운데, 전문가들은 지표를 만드는 과정부터 도민 참여가 적극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승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역경제분석센터 소장은 14일 제주연구원에서 열린 제주미래포럼에서 ‘제주도형 행복지표’ 초안을 발표했다. 

제주연구원은 지역의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핵심 이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도민과의 정책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분기별 한 차례 씩 제주미래포럼을 열고 있다. 이날 포럼은 37번째다.

박 소장은 제주도형 행복지표를 12개 영역의 36개 세부 기준으로 정리했다.

영역은 ▲가족 ▲일 ▲교육 ▲소득·소비 ▲주거 ▲문화·여가 ▲환경 ▲공동체 ▲주민참여 ▲안전 ▲의료·복지 ▲교통·인프라로 나뉜다.

가족은 가족관계 만족도, 조이혼율, 한부모비율이며 일은 고용안정성, 실업률, 일자리만족도로 나뉘고 교육은 교육기회 충족도, 학교교육의 효과, 학교생활 만족도로 구분했다.

소득·소비는 소득만족도, 소득분배, 소비생활 만족도이며 주거는 1인당 주거면적, 주거환경만족도, 최저주거 기준, 미달가구 비율을 포함하고 문화·여가는 1인당 평균독서권수, 문화예술공간 이용률, 여가생활 만족도다.

환경은 녹지환경 체감도, 대기환경 체감도, 수질환경 체감도이며 공동체는 단체참여율, 사회적 관계망, 자살률로 나뉘고 주민참여는 자원봉사 활동 참여율, 청렴도, 투표율이다. 

안전은 범죄발생률, 안전체감도, 교통사고 발생률이며 의료·복지는 주관적 건강 평가, 사회보장제도 체감도, 의료서비스 미충족률로 구분했고 교통·인프라는 대중교통 이용 만족도, 상수도 보급률, 하수도 보급률이다.

세부 기준을 추출할 자료원은 통계청, 국세청, 국토교통부,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 국민권익위원회, 환경부 등 대부분 중앙 부처다. 

박 소장은 “기존 연구인 서울, 전북, 충남, 세종, 지역행복생활권 지표, 지역공동체 행복도 등의 지표 개발과 비교하면서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IMG_9225.JPG
▲ 제주도형 행복지표 개발을 담당한 박승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역경제분석센터 소장. ⓒ제주의소리

이 같은 ‘제주도형 행복지표’에 대해 포럼 토론자들은 각자 보완점을 제시했다.

변미리 서울연구원 연구위원은 “오늘 날 행복지표 개발과정 자체도 시민참여적으로 이뤄지는 것이 보편화된 점을 고려한다면, 제주도형 행복지표 개발과정도 시민참여 방법을 적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동영 전북연구원 연구위원은 “행복지표 선정시 시·도별 비교 가능한 객관적 지표와 더불어 제주도민들의 주관적 행복도를 측정할 수 있는 분야의 경우, 도민들의 의견 수렴 절차를 거치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남상민 통계개발원 정책지표연구실 연구원은 “해당 지표·지수를 작성하는 만큼이나 이를 정책적으로 활용해 지속성 있게 추진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라면서 “정책 활용을 위해 작성 주체는 연구원에서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단위 지표 별로 정책부서와 연계해 지표를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작성된 지표는 도민들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해 관심을 유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강창민 제주연구원 연구기획실장은 “객관적(정량적) 지표와 주관적(정성적) 지표를 동시에 평가할 필요가 있으며, 각 시·도별 비교를 위해서는 각 시·도별 가중치 연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현길호 제주도의원은 “현재 도의회에서 ‘제주도 지속가능한 제주발전 기본 조례’ 제정을 위한 연구가 논의 중”이라면서 “행복지표를 구축하고 싶다면, 공공부문 차원에서 정책 달성을 위한 행복 개념을 재구조할 필요가 있다”고 의견을 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