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벼움과 속도가 지배하는 요즘, 옛 것의 소중함이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더구나 그 옛 것에 켜켜이 쌓인 조상들의 삶의 지혜가 응축돼 있다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차고술금(借古述今). '옛 것을 빌려 지금에 대해 말한다'는 뜻이다. 고문(古文)에 정통한 김길웅 선생이 유네스코 소멸위기언어인 제주어로, 제주의 전통문화를 되살려 오늘을 말하고자 한다. [편집자 주]

[김길웅의 借古述今] (81) 손아래 할아버지는 있어도 형은 없다

* 손아랫 하르방 : 손아래 할아버지

IE002347193_STD.JPG
▲ 손아랫 하르방은 셔도 성은 엇나. 서울 종로구 정독도서관에는 '족보실'이 있다. 가계도가 촘촘히 써 있는 일반적인 족보 뿐만 아니라, 조상들이 묻혀 있는 묘의 위치와 형태가 그려진 족보, 조상들의 초상화가 들어 있는 족보도 있다. [편집자] 출처=오마이뉴스.

“요년석이 사름을 홈불로 대햄서. 나가 느네 하르방 버릇인 걸 몰람시냐. 버르장머리가 이서야주.” 
(요것이 사람을 함부로 대하네. 내가 너의 할아버지뻘인 걸 몰라? 버릇이 있어야지.)
지금은 아주 느슨해졌지만, 몇 십 년 전까지만 해도 집안에서 촌수(寸數)를 따지는 수가 적지 않았다. 촌상이냐, 촌하냐 하는 말을 많이 했다. 십 년 아랫사람에게 존댓말을 쓰며 예도를 갖춰야 하는 경우가 삼춘뻘이다, 하르방뻘이라 해서 목에 힘주며 닦달하는 일이 흔했다는 얘기다. 집안의 위계질서가 그만큼 엄격했었던 게 지금은 많이 완화됐으니 이도 격세지감이 든다.

가문에는 친척 간에 촌수를 가기는 항렬(行列)이 엄존한다. 자기보다 항렬이 높아 할아버지나 삼촌뻘이 되는 사람인 경우는 자기보다 나이가 한참 밑이라도 ‘할아버지’, ‘삼촌’이라 불러야 한다. 설령 같은 항렬에 해당하는 형제뻘이어도 생년월일을 따져 형제의 서열을 확실히 했다. 집안 혈족 간에 차례를 따지는 데 항렬은 엄격한 잣대 구실을 했던 것.

항렬이란 같은 성씨 안에서 상하의 차례를 밝히기 위해 줄을 세우는 서열이다. 일종의 위계질서인데, 동조동근(同祖同根)으로 한 혈족임을 나타내는 증표라 할 수 있다. 각 파별로 족보를 편찬할 때 항렬자(行列字)를 정해 놓아 후손들이 따르도록 하는 게 관례다.

시조로부터 같은 세수(世數, 자신과 같은 세대)를 동항, 동항의 바로 위 항렬(아버지 세대)을 숙항(叔行), 그 바로 위(조부 세대)를 조항(祖行)이라 한다. 자기보다 바로 아래(아들 세대)를 질항(姪行)이라 하며 그 바로 아래(손자 세대)를 손항(孫行)이라 한다.

항렬은 쓰는 위치를 처음 세대에 이름자 가운데에 썼으면, 다음 세대는 이름자 끝에 쓴다. 예를 들면, ‘0권, 위0’으로 쓰는 것이다. ‘창군, 용권, 충권’이면, 바로 그 아래 세대는 ‘위영, 위준, 위순’이 된다.

흥미로운 항렬자 적용의 예가 있다.

지휘자 금난새 일가는 이름의 첫 자음이 항렬자 역할을 한다. 금난새 세대에는 ‘ㄴ’ 자, 그 다음 세대는 'ㄷ' 자 항렬이 되는 식. 실제로 자녀들 이름은 ‘금다다, 금드무니’라 했다. 본인부터 그렇게 시작했다는 것이다. 흥미롭다.

같은 부계 혈족의 직계에서 갈라져 나간 계통 사이의 대수(代數) 관계를 표시하는 말이 항렬이다. ‘항렬이 같다, 높다, 낮다’ 등으로 표현한다. 사람 이름을 통해 항렬이 같은지, 높은지, 낮은지를 알 수 있도록 같은 대수의 혈족끼리 공유하는 이름자가 ‘항렬자(行列字)’다.
  
이미 항렬을 따진다는 자체가 상당히 하향 추세다. 특히 작명(作名)에서 최근 들어 ‘항’이 상당히 무시되고 있다. 어디 가서 항렬을 들추다 ‘꼰대’ 취급 받기 딱 좋은 세상이란 얘기다. 항렬에 따른 돌림자를 사용하는 건 어디까지나 자유지만, 8촌 이상의 사실상 남인 관계에서는 항렬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그러니까 따지면 몇 십 촌이면서 항렬자가 두세 세대 아래인 학과‧직장 선배한테 ‘손자뻘이네? 이러지는 말라 함이다.

좌중에 따라선, 예법상 나이가 적어도 항렬이 높으면 존댓말을 써서 좋다. 서로 간 올바른 예절을 지키기 위해 그러는 것이다. 일부 대기업 회장 가문들도 이러한 항렬을 지키고 있어 세간에 회자되기도 한다.

유명인들의 항렬 비교가 눈길을 끈다.

▲ 개그맨 이경규는 적어도 10년 이상 연하인 이성재, 이정재, 이혁재, 이휘재의 손자뻘이고 이수만의 아들뻘이다.

▲ 가수 김건모는 43년 연상인 김재규 전 중정부장의 할아버지뻘, 4년 연상인 김진태 국회의원, 16년 연상인 김진태 전 검찰총장의 증조할아버지뻘이며, 41년 연상인 김영삼 전 대통령의 고조할아버지뻘이다.

▲ 김대중 전 대통령은 2년 연하인 김종필 전 국무총리의 할아버지뻘

▲ 개그맨 유재석은 16년 연상인 탤런트 유동근의 증조할아버지뻘, 14년 연상인 유승민 국회의원의 할아버지뻘. 유재석의 아들 유지호 군과 유승민 의원의 부친 故 유수호 씨가 항렬이 같다.
유사한 속담을 지나치지 못한다. 

“뱃소곱에 삼촌광 하르방은 셔도 성은 엇나” 
(뱃속에 삼촌과 할아버지는 있어도 형은 없다) 
뱃속의 삼촌과 할아버지란 아직 태어나지 않은 태중의 아이를 말한다. 하지만 전통적인 항렬로 하면 출생의 선후(先後)가 하등 문제가 되지 않는다. 

아뿔싸, 그 아이가 출산하면 나이가 이삼십 년 연하라도 아버지 항렬에 해당하면 자기에게 삼촌뻘이 된다. 할아버지 항렬이면 의당 할아버지뻘로 행세하게 된다. 하지만 형제인 경우는 나이가 기준이 되므로 뱃속의 아이가 형이 될 수는 없다 함이다.

“손우잇조캔 셔도 아신 엇나”(손윗 조카는 있어도 아우는 없다)라 회자돼 온 것도 같은 이치를 새긴 말이라 한 맥락이다.

아직 명맥을 이어 오는 곳이 없지 않으나, 지나온 옛날 농경시대의 유산이 돼 버린 말이다.

중요한 것은 혈족 간에 서열을 가리는 항렬이 아니다. 위선지심(爲先之心)과 숭조사상(崇祖思想)이다. 자라는 세대에게 가문의 혈통을 존중하고 조상을 섬기는 마음을 북돋는 일이다. 변화와 해체와 일탈의 시대다. 젊은이들에게 어떻게 동기를 부여할까, 그것이 문제로다. 김길웅 시인·수필가·칼럼니스트

증명사진 밝게 2.png
동보(東甫) 김길웅 선생은 국어교사로서, 중등교장을 끝으로 교단을 떠날 때까지 수십년 동안 제자들을 가르쳤다.1993년 시인, 수필가로 등단했다. 문학평론가이자 칼럼니스트이기도 하다. 도서관에 칩거하면서 수필, 시, 평론과 씨름한 일화는 그의 열정과 집념을 짐작케한다. 제주수필문학회, 제주문인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대한문학대상, 한국문인상 본상, 제주도문화상(예술부문)을 수상했다. 수필집 <모색 속으로>, 시집 <그때의 비 그때의 바람> 등 다수의 저서가 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