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_4064.JPG
▲ 제주문화포럼은 11일 ‘2018 지방선거 문화정책공약 제안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제주의소리

제주문화포럼, 지방선거 문화공약 토론회...전문가 확충, 예산 자율성, 의회 견제 등

6월 13일 결정될 제주도지사, 도의회가 명심해야 할 문화 예술 정책은 무엇일까. 예술 현장에서 활동하는 전문가들은 거창한 구호가 아닌 기초적인 내실부터 챙겨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제주문화포럼은 ‘2018 지방선거 문화정책공약 제안을 위한 토론회’를 11일 제주시 전농로에 위치한 문화공간제주아트에서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올해 도민들이 선출할 도지사, 도의원들이 앞으로 4년간 제주도 행정을 책임지면서, 꼭 시행했으면 하는 문화 예술 정책을 찾기 위한 자리다. 

김태관 제주아트센터 공연기획담당, 이나연 독립큐레이터, 김동현 제주민예총 정책위원장, 김연주 문화공간 양 기획자, 정원일 서귀포시장애인종합복지관 팀장이 각각 발표를 맡았다. 심규호 제주국제대 교수, 양성환 제주문화포럼 이사, 이재정 제주문화포럼 부원장은 토론자로 참여했다.

참석자들은 무엇보다 가장 기본이 되는 예술 전문 인력이 지금보다 늘어나야 한다고 봤다. 행정이 변해야 한다는데도 이견이 없었다.

김태관 담당은 “제주 공립 공연장은 정체성을 잃어버린 공연장이 대부분이고, 설립 목적에 부합된 운영을 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전문가가 없기 때문”이라며 “가장 전문적인 공간에 전문가가 없는 비상식적인 형태로, 기획 분야나 무대운영 등의 전문영역까지 비전문가의 지시를 따라야 한다. 한두 사람 정도를 채용한다고 하지만 그 전문성을 전혀 살리지 못하고 있는 게 제주 공립 공연시설의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김 담당은 전문가 관장 아래 전문기획자·기획팀이 뒷받침 될 때 도민들이 사랑하는 문화예술 시설로 탈바꿈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독립 법인으로 발전한 정동극장, 관장부터 공연기획자 8명 모두 민간 전문가로 채용한 대전 예술의 전당 등이 그 예시다.

김동현 정책위원장은 “원희룡 도정 이후 민속자연사박물관, 문화예술진흥원 등 일부에 개방형 직위가 도입됐지만, 기관장 한 명에 국한된 개방형 직위의 도입은 기존 조직의 폐쇄성 등이 문제가 될 경우 도입 취지를 살리지 못할 수 있다”며 “전문 직렬 확대, 하위직에도 민간 전문가를 공개 채용해 실질적인 문화예술 행정의 전문성을 꾀해야 한다”고 맞장구를 쳤다.

김 정책위원장은 문화국, 문화부지사 같은 행정부 변화와 함께 입법부, 즉 도의회에 대한 견제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제주문화예술의 플랫폼 역할을 오랫동안 주문받았던 문화예술재단에 대한, 지난해 도의회 문화관광위원회 소속 의원들의 신경질적인 반응은 그 자체로도 의원들의 전문성을 의심하게 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IMG_4069.JPG
▲ 왼쪽부터 김태관, 이나연, 양영길, 김동현, 김연주, 정원일. ⓒ제주의소리

김연주 기획자는 “앞으로의 제주 예술 행정은 사업이 아닌 문화예술인을 지원해야 한다. 예를 들어 사실상 무시하다시피 하는 기획비 지급을 의무화 하고, 대표자들에게 사례비를 지원하는 등 합당한 아티스트피(Artist Fee, 예술 활동 보수) 기준을 세워 지급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밖에 ▲음악에 편중된 도립예술단(5개 중 4개)을 극단, 오페라단, 청소년예술단 등으로 확대 개편 ▲예술 기획자, 예술 경영자 육성하는 도내 대학 커리큘럼 신설 ▲제주문화예술재단의 정책 연구 기능 강화 ▲민간 주도의 복합 예술공간 설립 ▲장애인 문화예술커뮤니티 센터 설립 등 장애인 예술 지원 확대 ▲1000만원 이하 보조금 무정산, 1000만원 이상 증빙서류 간소화 ▲보조금에서 기자재 임대비-구입비 큰 차이 없을 경우 구입 허용 ▲예술가 작업실·연습실 장기 임대 지원 ▲시각예술가 공동수장고 지원 ▲행정의 작품구입 확대 ▲예술가 대출지원 현실화 등을 추가로 제시했다.

제주문화포럼은 토론회에서 모아진 공약을 도지사 선거 후보들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