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벼움과 속도가 지배하는 요즘, 옛 것의 소중함이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더구나 그 옛 것에 켜켜이 쌓인 조상들의 삶의 지혜가 응축돼 있다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차고술금(借古述今). '옛 것을 빌려 지금에 대해 말한다'는 뜻이다. 고문(古文)에 정통한 김길웅 선생이 유네스코 소멸위기언어인 제주어로, 제주의 전통문화를 되살려 오늘을 말하고자 한다. [편집자 주]
 
[김길웅의 借古述今] (58) 마누라 잃은 건 안 섭섭하여도 담배통 잃은 건 섭섭하다
 
* 일른 : 잃은, 일르다→잃다
* 남통머리 : 담배통
 
골초의 생리를 익살맞게 표현했다. 한시도 담배 없이는 못 산다는 골초일지언정 아무려면 마누라에 비할까.
 
실제로 마누라와 담배통을 놓고 그 소중함을 따질 때, 아무리 담배를 좋아하는 사람일지라도 마누라보다 담배통을 중히 여긴다면, 그야 과장된 우스갯소리일 수밖에 없다. 
 
담배를 끊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르면 잠자리에 들 적에도 머리맡에 담배통을 놓아야 마음이 놓인다. 늘 몸에 지니고 다니다 보니, 살을 맞대고 사는 마누라 못지않은 애착을 갖게 된다 함이다.

담배는 쉽게 끊기 어렵다. 맞는 말이다. 2,30대 젊은 시절엔 하루 담배 두 갑을 피웠다. 그때 ‘거북선’이란 담배가 나올 때, 두 갑을 셔츠 주머니에 넣고 출근하면 학생들이 ‘거북이 두 마리 잡고 다닌다.’라 했던 일화가 있을 정도였다.

위염으로 고통을 겪으면서도 끊지 못한 게 담배였다. 파란 병에 하얀 위장약 ‘암포젤 M' 그 유명한 위장약을 달고 살면서도 그랬다. 의사의 지시도 아내의 눈총도 먹혀들지 않았다. 
 
담배 양을 줄인다고 하루 다섯 개비를 넣고 출근한다 했다가 들통 난 적도 있었다. 어느 일요일, 일직하면서 그때 초‧중등생이던 두 아들을 데리고 학교에 갔다가 책상 서랍에 넣고 피우던 담뱃갑을 들킨 것. 가족이 담배 끊게 한다고 대동단결(?)하던 판에 무사했겠는가. 가장 체면이 남루가 다 됐었다.
 
끝내 위병이 악화돼 신촌 세브란스병원에서 위 수술을 받기에 이르렀다. 그 후에도 끊지 못해 피우다 끊다를 반복하다 끊노라 한 게, 담배 생각나면 입에 목캔디를 넣고 바삭바삭 씹다 보니 어금니가 성하질 못하다. 담배를 끊은 지 30년을 됐을 테다. 한데 임플란트 하느라 목하 돈께나 투자하는 중이다.
 
담배, 하면 시인 오상순(吳相淳, 1920년 <폐허> 동인)을 그냥 지나칠 수가 없다.
 
‘허무의 탐구와 그 초극의 의지’를 노래한 그의 호가 ‘공초(空超)’다. 담배를 하도 많이 피워 지인들이 붙여 준 별명이다. ‘골초’를 ‘공초’로 미화한 건가.
 
공초 오상순 시인은 역대급 기인(奇人)이었다. 
 
일본 도시샤대학 종교학과를 졸업, 당시로선 가방끈이 길었음에도 어떤 자리도 맡지 않고 여러 사찰을 전전하거나 다방에 앉아 담배나 피우며 문학에 정진했으니 기인이라 할 수밖에. 그렇게 자유로운 영혼은 평생 무소유로 살아 시집 한 권 내지 않았다.
 
어느 날 소설가 이봉구가 다방에 앉아 있는 공초를 보니, 웬일인지 담배를 피우지 않고 멀근히 있지 않은가.
 
“아니, 선생님, 왜 담배를 안 피우시죠? 끊으셨습니까?”
“끊기는, 차라리 목숨을 끊지.”
“돈이 떨어지셨군요.”
“돈이란 게 늘 떨어지는 것이지.”
 
이봉구는, 얼른 나가 담배 한 보루를 사다 선생님에게 건넸다.
 
IE002024922_STD.jpg
▲ 공초 오상순 시인(1894~1963). 사진=오마이뉴스.
공초는 늘 그런 식으로 담배를 이어 갔다. 기록에 하루 200개비라 나온다. 당시 담배는 필터가 없는 짧은 거였지만 상상 초월 아닌가. 그러고도 폐가 남아났을까. 담배를 지독히 좋아해 식사 중에도 피우고 일어나서 잠들 때까지 줄곧 담배를 피웠다. 줄담배였다. 결혼식 주례를 하면서도 입에 담배를 물고 한 것으로 유명하다.
 
평생을 독신으로 살아 살붙이 하나 없던 공초는 죽을 때도 조계사 허름한 뒷간 방에서 숨을 거뒀다. 유해는 수유리 북한산 등산길 옆에 안장됐는데, 묘 앞 시비에는 그의 〈방랑의 마음〉 첫머리가 새겨져 있다. 원래 자유와 방랑은 동의어다
 
‘흐름 뒤에 / 보금자리 친 / 오, 흐름 위에 / 보름가리 친 / 나의 혼(魂)’
 
도안과 글씨체가 독특해 자체로 예술작품이라고 한다.
 
묘역에 자연석으로 된 ‘재떨이’가 있어 돌아가셔도 계속 후대의 사람들이 담배를 공물(?)로 바치도록 만들어 놓았다.
 
마누라 잃은 건 섭섭하지 않아도 담배통 잃은 건 섭섭해 할 정도로 담배는 일단 중독되면 죽자 사자 피우게 된다. 무서운 게 담배 중독이다. 오죽 했으면 담배 끊은 사람하고는 상종 말라 했을까. 그러나 필생의 각오로 끊어야 하는 게 담배다. 금연은 안된다. 단연(斷煙)이라야 한다. 담배를 끊겠다면 맨 처음 해야 할 일이 있다. 사랑하는 가족들 앞에서 선언해야 하다. 
 
“나, 오늘부터 담배를 끊겠노라!” 김길웅 시인·수필가·칼럼니스트
 

 

증명사진 밝게 2.png
동보(東甫) 김길웅 선생은 국어교사로서, 중등교장을 끝으로 교단을 떠날 때까지 수십년 동안 제자들을 가르쳤다.1993년 시인, 수필가로 등단했다. 문학평론가이자 칼럼니스트이기도 하다. 도서관에 칩거하면서 수필, 시, 평론과 씨름한 일화는 그의 열정과 집념을 짐작케한다. 제주수필문학회, 제주문인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대한문학대상, 한국문인상 본상, 제주도문화상(예술부문)을 수상했다. 수필집 <모색 속으로>, 시집 <그때의 비 그때의 바람> 등 다수의 저서가 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