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380_190166_5726.jpg
제주환경운동연합, 국가해양쓰레기 모니터링 결과 발표...중국서 건너온 쓰레기도 상당수

제주지역 해양 쓰레기의 절반 가량은 플라스틱으로 나타났다. '예상대로' 중국 쓰레기가 상당수 떠밀려오면서 국가적인 차원의 대책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는 지난해 제주시 김녕리, 서귀포시 사계리 해안을 대상으로 국가해양쓰레기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17일 그 결과를 발표했다.

해양쓰레기는 총 2474개가 수거됐으며, 이중 플라스틱이 전체의 47.2%(1168개)를 차지했다. 외국기인쓰레기가 16.9%(419개), 스티로폼 쓰레기가 14.3%(355개)로 뒤를 이었다.

플라스틱 쓰레기 상당수는 페트병류였으며, 비닐류 같은 생활계 폐기물도 많았다. 부표, 어구, 밧줄 같은 어업 관련 쓰레기 역시 많았다. 다른 나라에서 발생한 외국기인쓰레기의 절반 이상도 페트병으로,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의 심각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외국기인쓰레기는 대체로 중국지역이다. 일본,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지역, 남태평양 것도 일부 발견했다. 스티로폼 쓰레기는 대부분이 어업 관련으로, 특히 남해안 등 양식어업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플라스틱쓰레기가 위험한 이유는 마모되고 파손되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 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돼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밥상으로 올라온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외국기인쓰레기는 대부분이 중국 동부 해안에서 해류를 타고 제주도로 오는 만큼 대책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제주에서 발생하는 생활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교육, 계도, 단속 역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해양쓰레기를 적시에 수거하는 체계를 구축하고, 해양환경 관련 담당부서의 인력과 수거처리 예산 역시 늘어나야 한다고 조언했다. 폐기물관리정책을 수립할 때부터 해양 쓰레기 문제도 깊이 있게 다루자고 권고했다. 국가적 차원에서 해양쓰레기 문제를 해결하는 노력 또한 필수적이라고 꼽았다.

보다 상세한 쓰레기 데이터는 해양쓰레기통합정보시스템( www.malic.or.kr )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