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jpg
▲ 제주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 고태민 의원(애월읍, 바른정당). ⓒ제주의소리
농수축경제위, “개발공사, 삼다수만을 위한 기업 아니다” 가공용 감귤 수매가 인상 촉구

제주도 감귤출하연합회가 올해산 가공용 감귤 수매가를 1㎏당 160만원으로 결정한 것과 관련해 개발공사로 불똥이 튀었다. 감귤수매를 주도한다는 이유에서다.

제주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 고태민 의원(애월, 바른정당)은 18일 농축산식품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가공용 수매단가 문제를 도마에 올렸다.

가공용 수매단가는 지난해까지는 제주도개발공사가 결정했지만, 올해부터는 제주도 감귤출하연합회에서 결정했다. 감귤출하연합회는 지난 9월15일 올해산 가공용 수매단가를 1㎏당 160원(보조금 50원 포함)으로 결정했다. 6년째 동결된 것이다. 감귤출하연합회 회장은 제주도 정무부지사다.

이와 관련 고태민 의원은 “가공용 감귤 수매가가 2012년부터 업체부담 110원, 도 보조금 50원으로 ㎏당 160원으로 6년째 유지되고 있다”며 “과연 이 수매단가가 적정하다고 보느냐”고 따져 물었다.

이에 구자익 개발공사 마켓총괄(이사)은 “최근 수년째 110원을 유지해왔다”고 답변했다.

그러자 고 의원은 “개발공사는 도민을 위하고, 농민을 위해 설립된 공기업이다. 농민을 위한 마인드로 사업을 해야 한다”며 “6년째 동결하는 게 말이 되나. 인건비도 상승했고, 올해 상품감귤 가격이 상승하고 있는데, 그렇다면 가공용 가격도 상승해야 정상”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개발공사는 삼다수만을 위해 존재하는 회사가 아니다. 제주도민을 위하고, 농민을 위한다면 가공용 감귤 수매가격을 6년째 동결할 수는 없는 일”이라며 수매단가 인상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구자익 이사는 “가공용 감귤은 일해와 롯데도 수매하고 있어 협의를 해야 한다. 게다가 감귤주스 시장이 과거 1000억 규모에서 600억 정도로 줄어들어서…(어려움이 있다)”면서도 “출하연합회와 협의를 진행해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고 의원은 “제주도가 50억원을 들여 산지폐기까지 하고 있는 상황에서 개발공사가 6년 전 마인드로 감귤산업을 대해서는 안 된다. 일해-롯데도 결국은 개발공사를 따라가는 것 아니냐”고 거듭 가공용 감귤 수매단가 상향조정을 주문했다.

좌남수 의원(한경·추자, 더불어민주당)은 “물 팔아먹는 건 봉이 김선달도 한다. 전문경영인이 왔으면 감귤과 관련해서 전향적인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면서 “농축액 재고량도 어마어마한데, 어떻게 처리할 것이냐”고 대책을 따져 물었다.

특히 좌 의원은 직원들의 처우와 관련해서 “정원 대비 24%가 결원이다. 엄청난 과로에 시달리고 있다”며 “흑자를 냈으면 근로자들의 임금도 대기업 수준은 못해도 중소기업 이상은 돼야 하는 것 아니냐”면 직원들의 처우개선을 주문했다.

고용호 의원(성산, 더불어민주당)은 감귤농축액 재고 처리와 관련해 “감귤주스 제품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고, 이에 구 이사는 “삼다수 위탁판매사 선정과 관련해 감귤주스를 1만톤 정도 판매할 수 있도록 계약을 했다”고 답변했다.

이경용 의원(서홍·대륜동, 바른정당)은 “저도 회의에 참석했었는데, 가공용 감귤단가 문제와 관련해서 개발공사는 ㎏당 10원 올리는 것에 동의했지만, 사기업들이 ‘그렇게 하면 손을 떼겠다’고 하면서 동결된 것”이라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그러자 고태민 의원은 “가공용 감귤 수매는 사기업이 아니더라도 개발공사가 전량 수매할 수 있다는 각오가 필요하다”며 보다 전향적인 자세변화를 촉구했다.

현우범 위원장(남원, 더불어민주당)은 “이윤을 추구하는 일해, 롯데 등 사기업들이 과연 적자를 보면서 사업을 할까”라고 물은 뒤 “개발공사가 감귤사업으로 13억원의 적자를 본다고 하는데, 이는 자구노력을 하지 않은 결과로 볼 수 있다”며 개발공사의 내부혁신을 주문했다.

현정화 의원(중문·대천·예래동, 바른정당)은 “감귤농축액을 경로당 등에 무상으로 제공하는 것에 대해 이를 제안했던 의원으로서 고맙게 생각한다”며 “학교와 어린이집, 군납, 비행기 기내 음료수 등으로 소비를 촉진시킬 다양한 방안을 강구해 달라”고 말했다.

이에 구자익 이사는 “오경수 사장이 취임한 후 매월 전 부서 관계자가 참석하는 감귤전략회의를 개최하고 있다”며 특단의 대책마련을 시사했고, 가공용 감귤 수매단가 문제에 대해서는 “협의해보겠다”고 여지를 남겼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