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_5746.JPG
▲ 제주발전연구원 제주학연구센터와 (사)제주학회는 2일 공동세미나 ‘글로컬(Glocal) 시대의 제주학의 역할과 위상’을 개최했다. ⓒ제주의소리
김민영 연구원 “사회적 인프라, 안전망 강화는 정착민·원주민 공통 의견”

제주에 정착하려는 사람들이 꾸준히 이어지는 가운데, 이제는 정착 주민에 맞춘 정책 대신 정착민·원주민 모두를 위한 사회적 인프라 강화에 힘써야 한다는 조언이다. 

제주발전연구원 제주학연구센터와 (사)제주학회는 2일 제주대 인문대학 2호관 세미나실에서 공동 세미나 ‘글로컬(Glocal) 시대의 제주학의 역할과 위상’을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제주학센터와 제주학회가 2011년 이후 5년 만에 여는 공동 세미나로, 올해 제주학연구센터가 공모한 기초·정책연구를 발표했다.

발표 연구로는 ‘재외 제주인 네트워크 공동체 구축을 위한 정책 방안’(고계성 경남대 교수), ‘제주 중문 관광단지를 통해 본 개발 방안에 대한 제언’(김동주 제주대 강사), ‘제주 정착 주민 네트워크 현황조사를 통한 제주 정착과정 고찰’(김민영 제주대안공동체 연구원), ‘제주도 고고학의 연구 성과와 과제’(강창화 제주고고학연구소 소장), ‘조선시대 제주 정려비 실태와 정책 제언’(홍기표 제주도 문화재위원), ‘(사)제주학회 학술지 《제주도연구》 활성화 방안’(윤용택 제주대 교수)까지 6개다.

이중 제주 정착 주민을 연구한 김민영 연구원은 “앞으로 제주도의 정책은 정착 주민과 지역 주민(원주민)의 구분 없이 일원화된 사회적 인프라 개선과 사회적 안전망 구축을 목표로 시행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그 이유는 정착 주민들이 제주에서 적응하는데, 행정이 아닌 민간 중심의 네트워크(관계망)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 연구원은 조사 방법과 대상을 기본 설문 조사(81명), 심층 면접 조사(30명)으로 구분했다. 기본 설문 조사에서는 정착 동기, 정착 관계망 경험, 정착 지원 관련 정책 이용 실태 같은 내용을 확인했고, 심층 면접 조사는 보다 자세한 맥락을 파악했다. 여기에 '정착 주민 관계망 활동'을 조사하기 위해 편의표집 조사(57명)가 별도로 실시됐다.

김 연구원은 “정착 주민 관계망 활동 설문조사 결과 참여자 57명 가운데 49.4%가 정착 초기에 온·오프라인 관계망에 가입해 활동한다고 답했다”며 “정착 후에는 시민사회단체(18.9%), 마을회·동호회·기타(13.2%), 협동조합·학부모위원(11.3%) 순으로 관계망 활동을 이어간다”고 밝혔다. 

특히 "정착 주민들은 대안적 가치에 대해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 보호, 공동체 의식 등을 중요하다고 보고 있어 향후 정착 주민 관계망을 구성해 나가는데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달리 제주도 정책에 대해서는 참여도가 저조하고 만족도도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기본 설문 조사 응답자의 8.6%만이 정착 관련 정책의 경제적 지원을 받았다고 답했으며, 비경제적인 지원은 29.6%가 받았다고 응답했다. 정책 지원을 받았다고 응답한 인원 가운데 37.6%가 불만족하다는 의견이다. 매우 불만족도 20.8%나 됐다. 읍면동 주민센터가 역할을 하는 ‘정착 주민 지원 센터’는 전체 응답자의 6.2%만이 이용했다고 밝혀 사실상 정착 주민들에게 외면받은 것이나 다름 없는 상태였다.

심층 면접자들은 ▲창업 정보 부족 문제를 해결할 매칭서비스 제공 ▲소규모학교 육성 지원 사업의 장기적인 시행과 마을 전체를 살리는 정책 방향 추진 등을 제안했다.

김 연구원은 “정착 주민들은 관련 정책에 관한 정보 뿐만이 아닌 주거, 의료, 교육, 복지, 소비 등 생활 전반에 관해 통합적으로 제공되는 정착 과정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제공받길 바란다”며 “나아가 쓰레기 문제, 주거 환경, 교통 환경, 노동 여건 같은 사회적 인프라와 안전망이 보다 개선돼야 한다는 의견이 높았다”고 강조했다.

김 연구원은 “사회적 인프라, 안전망 같은 정착 주민의 요구사항은 원주민들이 느끼는 문제와 동일하다. 앞으로 제주도의 정책은 정착 주민과 원주민의 구분 없이 일원화된 사회적 인프라 개선과 사회적 안전망의 구축을 목표로 시행해야 한다”며 “이런 방향으로 정주환경이 개선된다면 정착 주민 네트워크 또한 정착민과 원주민의 교두보 형태로 변화해 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